본문 바로가기

Papyrus

비주얼 스튜디오 2010 SP1과 윈도우즈 SDK 7.1 충돌 문제 비주얼 스튜디오(Visual Studio) 서비스팩과 윈도우즈 SDK를 설치할 때 자주 발생하는 충돌은 매우 악명 높다. 이번 비주얼 스튜디오 2010 SP1와 윈도우즈 SDK 7.1 역시 충돌 문제가 발생한다. 윈도우즈 SDK 7.1은 비주얼 스튜디오 2010 SP1이 설치되어 있을 때 Visual C++ x64 컴파일러 설치 에러가 발생한다. 만약 비주얼 스튜디오 2010을 클린 설치하는 중이라면, 비주얼 스튜디오 2010을 설치하고, 윈도우즈 SDK 7.1을 설치한 뒤 마지막으로 비주얼 스튜디오 2010 SP1을 설치하면 된다. 이미 비주얼 스튜디오 2010 SP1을 설치한 상태라면, Windows SDK 7.1을 설치할 때 Visual C++ x64 컴파일러를 선택하지 않고 윈도우즈 SDK를 설치.. 더보기
Drive! 구 소련의 경제 정책에 대한 우스개 소리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 동무들, 앞으로 5년 뒤에는.. AMD의 애슬론/듀론 시절의 짧은 영광 후의 행보는 구 소련의 이 우스개 소리를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오늘 터키에서 날아온 불도저의 벤치마크(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int_news&page=1&sn1=&divpage=6&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2783) 결과는 약간 의외다. 애초부터 불도저 코어가 기존 벤치마크 프로그램에서 인텔을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결과로부터 다음을 예측할 수 있다. 첫째, 이전의 포스팅에서 썼던 것처럼, 초기 불도저는 플.. 더보기
After Bulldozer : 업체들의 만화경(萬華鏡) 10월 12일로 출시가 결정된 AMD 불도저 8150P의 성능은 대략적으로 i5 2500에 근접하는 것 같다. 안타깝지만 불도저는 애초에 기대했던 성능과는 다소 거리가 있으며, 가격 대 성능비로 승부해야 할 것 같다. AMD는 초기 불도저는 확실히 기대 이하라고 판단하고 있으며, 가급적 빨리 불도저 아키텍처를 개선한 파일드라이버(piledriver) 아키텍처로 넘어가려는 듯 하다. 즉, 시장에는 8150P와 같은 플래그쉽 모델만 풀릴 가능성이 높으며, 메인스트림급은 파일드라이버 아키텍처가 처음 적용되는 APU 트리니티(Trinity)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몇 가지 변수가 더해져 기대해 볼만한 부분이 생겼다. 무엇보다, AMD는 전통적으로 소프트웨어 지원이 만족스럽지 못했지만, 트리니티에 이르러.. 더보기
썬더버드(Thunderbird)의 오랜만의 도약 모질라(Mozilla) 재단에서 가장 주목 받는 프로젝트는 아무래도 파이어폭스(Firefox)라서, 썬더버드(Thunderbird)는 묻히는 감이 없지 않다. 파이어폭스가 근래 들어 상당히 빠른 발전 속도를 보이는 반면, 썬더버드는 오랫동안 3.x 버전에서 정체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 파이어폭스 5.0이 릴리즈되면서 썬더버드도 4.0을 건너뛰고 무려 5.0으로 버전을 올려 릴리즈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번 썬더버드 5.0은 메이저 버전 숫자를 2만큼이나 바꾸기에는 조금 부족해 보인다. 새롭게 바뀐 UI는 파이어폭스와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필요에 맞춰 적절하게 UI 컨트롤을 배치한 파이어폭스와 달리 뭔가 정리되지 않은 느낌을 준다. 파이어폭스의 경우, 잘 사용하지 않는 풀다운 메뉴 및 툴바와 같.. 더보기
미디어 플레이어 12가 DVD 타이틀을 재생할 때 오디오가 나오지 않을 경우 윈도우 7에 내장되어 있는 미디어 플레이어 12(이하 WMP12)는 기존 버전과 다르게 DVD 재생을 위한 코덱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코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자막을 출력하기 위한 컴포넌트 정도만 설치하면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WMP12에서 DVD를 재생할 때 비디오는 제대로 출력되는데, 오디오는 제대로 출력되지 않을 때가 있다. 이것은 응용 프로그램이 오디오를 단독으로 점유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을 때, 오디오 드라이버 구현에 따라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응용 프로그램에 의한 오디오 단독 사용을 해제하려면 다음을 참고하라. 1. 제어판을 열고 '하드웨어 및 소리'를 선택하고, 소리 카테고리에서 '오디오 장치 관리'를 선택한다. 2. 스피커 항목의 속성을 클릭한다. .. 더보기
불도저는 매력적이다. 그러나.. 루머성 정보가 풀리기 시작한 AMD의 불도저(bulldozer)의 실성능은 상당히 긍정적이다. 슈퍼파이(SuperPI) 1M 계산시간이 7.8초라는 것은 예상보다 놀라운 결과지만, 못 믿을 정도는 아니다. AMD는 이번 불도저 아키텍처를 설명하면서 모듈이라는 개념을 선보였는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코어라는 개념과 비교해볼 때 모듈과 코어는 1:1 대응이 되지 않기 때문에 많은 혼란을 가져왔다. 다음 글은 이 부분과 관련된 불도저 아키텍처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 http://celdee.tistory.com/682 간단히 말하자면, 코어는 코어 하나가 완전히 모든 것을 실행 할 수 있다. 그러나, 공유되는 리소스는 극히 적은 편으로 L3 캐시가 고작이다. 하이퍼스레딩은 이 한계를 파악하고 적절한.. 더보기
코딩 글꼴 : 나눔고딕코딩 2.0과 Consolas, Verdana 코드 작성에 적합한 글꼴은 정말로 선택하기 힘든 문제다. 가뜩이나 제한 사항이 많은데, 여기에 한글이라는 문제까지 끼어들기 때문이다. 코딩 글꼴에 대한 사항은 http://celdee.tistory.com/673을 참조하라. 꽤 오랫동안 관찰한 끝에, 가장 현실적인 선택은 나눔고딕코딩 글꼴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현재 릴리즈되고 있는 나눔고딕코딩은 2.0 버전인데, 과거와 비교해 글자의 높이가 줄어든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과거 나눔고딕코딩 글꼴의 높이가 좀 높아서 다른 글꼴에 비해 크게 튀었는데, 이 문제를 어느 정도 개선한 느낌이다. 해외에서 가독성이 높다고 평가 받는 코딩 글꼴들은 대체로 흠 잡을 데 없이 괜찮지만, 어떤 글꼴도 한글 문제를 시원스럽게 해결하지 못한다. 이전에도 이야기했지만, 고정폭.. 더보기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의 원격 미디어 스트리밍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WMP)의 동영상 재생 능력은 그냥 그럭저럭 쓸만한 수준이다. 사실, 지금도 곰 플레이어와 같은 전문 동영상 플레이어와 비교해보면 자막 처리 및 스킵 능력에 있어서 불만족스럽지만, 예전 WMP9 시절과 비교해본다면 엄청나게 발전한 것이다. WMP이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동영상 포맷도 ffdshow와 같은 DirectShow 필터를 설치하지 않는다면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WMP는 기본 설계 자체는 그렇게 나쁜 편이 아니고, 확장하기에 따라 얼마든지 편리하게 쓸 수 있으며, 윈도우에 기본 내장되어 배포된 탓에 쓸만한 스킨도 흔한 편이다. 그리고, 윈도우 7에서만 지원하는 WMP12는 원격 미디어 스트리밍이라는 아주 흥미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트리밍 서버를 구축하는 것은 예나 지금.. 더보기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라이브러리에서 ogg 파일 인식하기 동의하는 사람은 적겠지만,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WMP)는 사실 매우 쓸만한 물건 중 하나다. WMP는 예전부터 미디어 라이브러리 기능을 지원해왔지만, WMP12에 이르러서는 윈도우 7이 지원하는 라이브러리에 의해 더 매끄럽게 미디어 파일들을 관리할 수 있다. 다만, 음악 파일의 경우 ogg 포맷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데, 이것은 코덱 문제가 아니라 레지스트리에 해당 포맷을 라이브러리화 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다음 레지스트리 파일을 병합하라 : 좀 세련되지 못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ogg vorbis 코덱을 배포하는 쪽에서 설치 파일이 이런 작업을 해주지 않는다면 다른 방법이 없다(사실, 이 레지스트리 엔트리를 직접 병합하는 것과 동일한 작업을 할 것이다). 이 방.. 더보기
페칸(MSN pecan) 0.1.1이 WLM에 제대로 접속하지 못한다면 피진(Pidgin) 메신저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한 메신저 프로토콜을 하나의 메신저에서 다룰 수 있다는 것이고, 그 중에서 특히 윈도우 라이브 메신저(WLM)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는 페칸(pecan)은 매우 유용한 플러그인이다. 그런데, 페칸 0.1.1 버전은 최근 "Unable to authenticate: nexus stream error" 에러를 뱉어내면서 WLM에 제대로 로그인하지 못하는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해결 방법은, 페칸 대신 그냥 피진 2.7.6. 버전 이상에서 내장된 MSN 프로토콜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것이다. 피진 2.7.6은 MSNP16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때문에 라이브 메신저에 접속이 가능하다. 윈도우 라이브 메신저는 페칸에 의한 접속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해서 접속을 해제하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