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을 모았던 샌디브릿지의 GPU 성능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샌디브릿지의 GPU 성능이 내장 그래픽의 현실적인 수준이고, CPU 성능조차 현 세대의 하이엔드 CPU와 차이가 큰 편은 아니다. 더구나, 최근 불안정한 환율까지 고려해본다면 가격적인 부분에서 장점은 더욱 희석된다. 이런저런 요소를 고려해봤을 때, 샌디브릿지는 생각보다 그다지 좋은 물건은 아니다.
그러나, 샌디브릿지의 설계 구조에 대해서는 개발자들이 관심을 가져볼만한 부분이 있다. CPU와 GPU가 같은 L3 캐시를 사용한다는 점이 그것인데, 이것은 샌디브릿지의 GPU 성능이 시원치 않더라도 대단한 특징이다. 만약, 이와 같은 구조를 채택하지 않고 전통적인 방법으로 GPU 성능을 끌어올렸다면(다시 말해 서로 독립된 메모리 아키텍처를 채택하고 쉐이더 유닛의 개량과 같은 방법을 사용했다면), 샌디브릿지는 최종 소비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블로그지기는 죽어가는 인텔 내장 그래픽의 생명 연장 수준이라고 격하했을 것이다. 즉, 미약하기는 하지만 CPU-GPU 사이의 데이터 공유에 중점을 둔 이 구조를 보면 샌디브릿지는 인텔이 꿈꾸는 통합 CPU-GPU 아키텍처의 위태로운 다리 역할을 하는, 그 이름처럼 '모래로 만든 다리(Sandy Bridge)'라는 생각이 든다. 인텔의 완전한 라라비(Larrabee) 코어는 언제 모습을 드러낼지 기약이 없지만, 핵심이 되는 CPU-GPU 공유 메모리에 대한 준비는 착착 이루어지고 있다. 이종(heterogeneous) 코어 사이의 통합 L3 캐시는 그 자체만으로도 대단한 도약이다. 물론, L3 캐시 공유만으로는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정말 필요한 것은 CPU와 GPU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이다. 더 좋은 것은 CPU-GPU 통합칩이 전체 메모리를 공유하는 것이지만, 프레임버퍼로 사용하는 비디오 메모리와 일반 시스템 메모리는 속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당분간 그럴 일은 없을 것이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독립칩으로서의 라라비는 이제 가치가 없다. 이종 코어로서의 라라비는 시간 문제일 뿐이지, 병렬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의 흐름으로 봤을 때 반드시 나타난다. 이것은 인텔, NVIDIA, AMD 모두에게 죽느냐 사느냐 하는 문제다.
즉, 샌디브릿지의 가장 큰 특징은 CPU-GPU 통합 아키텍처의 확실한 초기 설계다. 차후 아이비브릿지(Ivy Bridge)에서 GPU가 개선되더라도 이와 같은 구조는 변함이 없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라라비의 유전자를 지닌 코어가 인텔의 전통적인 내장 그래픽 코어를 대체하며, 통합 L3 캐시에서 발전하여 CPU-GPU 공유 메모리 구조까지 도달한다면 라라비가 애초에 꿈꿨던 GPGPU 패러다임을 완벽에 가깝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NVIDIA에게는 재앙이며(NVIDIA는 x86 호환 코어를 직접 제조하지 않는 이상 하나의 칩에서 공유되는 메모리 구조는 꿈도 꾸지 못한다), AMD는 APU라는 다른 접근법을 취하고 있는 만큼 검증에 조금 더 시간이 걸린다.
결론적으로, 울프데일 미만의 CPU를 사용하고 있고, 엔트리 레벨의 GPU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라면 샌디브릿지는 상당히 괜찮은 물건이다. 그러나, 그 외의 경우라면 메인보드까지 교체해야 하는 대공사를 벌일 필요는 없다. 기술적인 면에서 흥미를 당길 몇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샌디브릿지를 가지고 당장 할 수 있는 새로운 것은 없다. 당분간은 일반 CPU에 NVIDIA나 AMD의 GPU를 구매하는 것이 GPGPU 기술을 연구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것이다. 인텔이 제안하는 CPU-GPU 통합칩의 프로그래밍 모델은 결국 CUDA, OpenCL의 프로그래밍 모델과 비슷한 방식으로 수렴될 것 같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