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일러 공식

역 오일러의 공식과 신호의 주파수 성분 복소 지수로 표현된 신호는, 삼각 함수에 관한 오일러의 공식을 사용하여 코사인, 사인에 대해 각각 정리할 수 있다. 이것은 신호 처리에 있어서 중요한데, 주파수가 인 코사인 신호는 사실 두 개의 복소 지수 신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 사실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의 삼각 함수에 관한 오일러의 공식을 살펴보자. 삼각 함수에 관한 오일러의 공식을 사용하여 와 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것을 이용하여 를 다음과 같이 양과 음의 주파수를 가진 복소 지수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위의 식을 정리하면, 주파수가 인 코사인 신호는 사실 두 개의 복소 지수 신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는 양의 주파수 를 가지고, 다른 하나는 음의 주파수 를 가진다. 양의 주파수를 가지는 복소 지수 함수의 진폭은 이고, 음.. 더보기
Fermat's Little Theorem & Euler's Theorem Fermat's Little Theorem. p가 소수이고, a가 a가 p로 나누었을 때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수라면, a^(p -1) ≡ 1 (mod p) 위 식이 성립한다. 페르마 본인은 이 정리의 증명을 쓰지 않았지만, 이 정리의 증명은 어렵지 않다. 먼저, p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수는, p가 소수일 때 p - 1만큼 존재한다. 또, 재미있는 사실은 1에서 p - 1까지의 수를 p로 나누었다면, 여기에 어떤 수를 곱하더라도 그 나머지는 이 집합에 포함된다. 이것을 다시 쓰면, 1, 2, 3, ... (p - 1) (mod p)는, a, 2a, 3a, ... (p - 1)a (mod p)와 합동이다. 즉, 1, 2, 3, ... (p - 1) (mod p) ≡ a, 2a, 3a, ... (p - .. 더보기